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명절증후군, 연령별로 느끼는 명절 부담감

by mypage47 2024. 8. 24.

대한민국의 설과 추석 명절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족모임, 가족행사이다.

이런 모임, 가족행사가 즐거운 것이 아니라 소통의 문제, 불필요한 관심, 가사노동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주는 부담되는 행사가 되기도 한다.

음식이-많은-식탁
음식이-많은-식탁

 

명절증후군이란?

명절 증후군은 주로 설, 추석 명절 기간 또는 명절이 끝난 후에 겪는 피곤함, 스트레스, 우울감 같은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말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명절 증후군이라고 하면, 과도한 가사 노동으로 인해 힘든 여성들을 많이 생각했다.

하지만, 현재는 연령대별로 느끼는 부담감은 사회적 위치와 역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연령별로 명절에 대한 부담감

명절에 대한 부담감 20대

취업 및 진로 고민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의 경우, “취업했니?”, “언제까지 부모님이 너를 부양해야 하니?”, “앞으로 어떻게 할 거니?” 같은 질문에 자존감이 낮아지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명절에 대한 부담감 30대

결혼 또는 2

결혼하지 않았다면, “만나는 사람은 있니?”, “언제 결혼할 거니”, “국수는 언제 먹게 해 줄래등의 질문은 요즘처럼 비혼주의를 생각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만약, 결혼을 했다면 애는 언제 생기니?”, “둘째는 낳아야 한다.” “혼자는 외로워, 동생을 만들어줘야 한다.” 등의 질문은 사실 당사자들에게는 지나친 관심으로 다가오고 불편한 질문들이다.

 

경제적 부담

명절 선물에 대한 부담감은 안 할 수가 없는 분야이다. 이동 시 필요한 비용, 부모님 드릴 용돈, 지출이 많아지면서, 명절에는 선물해야 한다는 분위기는 사실 부담된다.

 

명절에 대한 부담감 40대

가사 노동 부담

주로 명절을 준비와 가족 모임을 주도하는 연령이 되면서, 명절 장보기, 집안청소, 음식준비, 설거지, 뒷정리 등으로 육체적인 노동의 주요 책임을 지게 되면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가족 간 소통 및 불화

평상시 안부를 자주 묻지 않던 가족들이 모여서 집안의 주요한 문제를 명절에 이야기를 꺼내거나 논의를 하면서 서로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다툼의 씨앗이 되기도 하면서 가족들끼리 싸우고 끝나는 명절이 될까 걱정을 하게 된다.

 

명절에 대한 부담감 50대

자녀의 독립

성인된 자녀가 있는 경우, 친인척의 관심이 자녀들에게 가면서 취업 또는 결혼 질문을 받거나 걱정 섞인 대화를 하면서 부모로서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도 있다.

 

경제적 부담

50대 역시, 노동 시장에서 은퇴해야 하는 시기가 다가오면서, 은퇴 후의 계획에 대한 대화가 현실적으로 대가오면서 좌절감, 우울감을 느낄 수 있다.

 

지금까지 연령별로 느끼는 부담감에 대해 언급했다. 사실 명절을 기다리는 것은 초등학교 이후로는 없다고 봐야 한다..

 

명절을 보내는 자세

부담되지 않은 명절을 보내려면 어떤 자세가 필요한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서로에 대한 공감과 이해

상대방이 느끼는 부담감과 어려움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 가사 노동에 대한 피로와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늦어지는 취업이나 결혼에 대한 관심은 줄이고 격려를 해주면 상대방이 부담감이 떨어질 수 있다.

 

역할 분담의 배려

가사 노동을 성별을 나누어하지 않고, 각자의 시간과 상황에 맞춰 할 수 있는 영역을 나누고 것도 방법이다. 음식을 미리 나누어 준비해서 명절에 모인다거나, 필요한 음식만 준비하고 조리한다.

 

소통이 되는 대화

상대방의 의견을 끝까지 들어주고, 의견이 다르다면 왜 다르게 생각하는지 솔직하게 이야기하면서 편안하게 이야기하는 분위기를 만든다. 대화 주제의 문제를 찾기보다는 해결 방법을 찾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를 해야 한다.

 

감사의 표현

명절을 준비하면서 노력한 가족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면서, 서로 대한 서운한 감정이나 힘든 마음을 위로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돌봄

명절동안 받은 스트레스와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받은 자신에 대한 충분한 휴식을 줄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고, 다른 가족들에게도 휴식의 시간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행동을 실천하면서 명절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추억을 만들다 보면, 명절에 대한 부담감은 줄고 보고 싶은 가족들을 기다리는 명절이 될 것이다.